회의 방식 및 진행
- 디스코드 회의 (비대면): 회의를 디스코드로 진행 중이라면, 정리된 회의록과 클로바노트를 활용하여 팀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논의를 명확히 기록해야 합니다.
- 회의록 작성법:
- 회의 중 중요한 사항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기록.
- 회의 후, 요약본을 작성하고 이를 팀원에게 공유하여 혼동을 방지.
- 중요 결정사항, 할당된 업무, 기한 등을 포함.
문제상황 & 고민
- 잘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심:
- 정기적으로 팀원들과 피드백을 주고받고, 진행 상태를 점검하세요. 목표가 달성되고 있는지, 예상한 시간 내에 일이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진행 상황을 구체적으로 체크리스트로 작성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해주세요.
- 소통 방식:
- 미리 회의/논의: 회의 전에 논의할 내용을 미리 문서화하고, 필요한 자료를 준비한 후 회의 진행.
- 팀원 간 소통: 경력자와 비경력자의 차이를 고려해, 팀원들에게 필요한 실무 교육이나 멘토링 기회를 제공. 빈번한 연락과 소통은 중요하나, 회의 시간을 줄이는 것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.
- 팀원 관리 및 성장:
- 필요 없는 팀원은 자연스럽게 제외시키되, 핵심 인력은 역량에 맞는 역할을 맡길 수 있도록 역할 분배.
- "엘리트 위주"의 팀 구성으로 더 효율적인 작업을 유도.
pm이 소통하는 사람들
- 사업기획:
- 지원사업을 받을 수 있는지, 사업 계획서 준비 상황 확인.
- 프로토타입을 만든 후, 지원사업을 위한 준비 과정을 논의하고, 사업 계획서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고민하세요.
- 디자인:
- 디자인 작업의 진행 상태를 체크하고, 필요한 수정사항을 주기적으로 반영하여 빠르게 완성도를 높이세요.
- 백엔드 개발:
- 백엔드 개발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, 이슈가 발생할 경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세요.
- 영업/마케팅:
-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, 소상공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나 제품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브랜딩할 수 있을지 논의하세요.
- 마케팅 진행 상황에 대한 재촉도 필요하지만, 팀원의 성장을 고려한 접근이 중요합니다.
기타 고려 사항
- 프로젝트 목표: "소상공인 지원"과 같은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,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 팀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세요.
- 임팩트: 프로젝트가 실질적인 임팩트를 미칠 수 있도록, 필요한 기능이나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정해 진행합니다.
- 회의 및 소통: 각 팀원과의 소통 빈도를 점검하고, 팀 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업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소통을 유지하세요.
이 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그 글이나 회의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. 필요하면 더 구체적인 조언을 드릴 수 있어요!
'서비스 기획, 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획자 역량,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, 개발자와 소통 (1) | 2024.12.31 |
---|